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
- 128x64 OLED
- Windows 10 설치 USB
- 아두이노 온습도계
- OLED 시계
-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OLED
- 아두이노 시계
- AM2302
- 아두이노 비접촉 온도계
- LGP33
- 선반 만들기
- 노트북 SSD교체
- DS3231 RTC
- 0.96 OLED
- 온습도계 만들기
- LGP33 LG노트북
- 0.96 OLED I2C
- HDD를 SSD로
- P330-KE1WK
- 비접촉 온도계 만들기
- 0.91 OLED
- 아두이노
- 아두이노 나노 호환보드
- DHT22
- 노트북 쿨러(팬) 청소
- 노트북 써멀그리스
- MLX90614
- MLX90614 온도센서
- Adafruit SSD1306 u8glib
- Today
- Total
K씨의 별별제작소

이전 글 에서 노트북의 HDD를 떼어내고 SSD를 장착했다. 이 페이지에는 이전 글에 이어서 Windows 10을 새로 설치하는 작업과정을 담았다. 노트북 분해 전에 확인할 것! 내가 쓰던 노트북은 구입할 때 운영체제가 Windows 7이 깔려있었는데, Windows 10 무료 업그레이드 기간에 업그레이드를 해서 Windows 10으로 사용중이었다. 노트북 HDD를 떼어내고 SSD로 교체하면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해야하는데, 이럴경우 Windows 10 정품인증을 다시 받을 수 있는지 찾아보았다.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하드웨어 변경 후에도 디지털 라이센스 또는 제품 키가 있으면 다시 정품인증이 된다고 한다. 노트북을 분해하기 전에 노트북의 시스템 종류, Windows 버전, Windows..

내 노트북은 아주 오래되었다. 그동안 청소를 한번도 안해서 발열도 너무 심하고, 컴퓨터 켜지는 데에만 몇십분이 걸릴 정도로 너무 느려서 요즘들어서는 거의 사용을 못하고 있었다. 조금 빨라질까 싶어서 예전에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고 윈도우10을 다시 설치한 적이 있었지만 노트북은 여전히 느리고 심하게 뜨거워진다. 기존에 설치된 HDD를 SSD로 바꿀까 여러번 고민을 했었지만 이 오래된 노트북을, 더군다나 모니터 연결부위가 부서져서 제대로 닫히지도 않는 이 노트북을... 비싼 돈 들여 컴퓨터가게에 맡기는 결정을 선뜻 할 수 없어서 이도저도 못하고 그냥 있던 참이었다. 그런데 검색을 하다보니 노트북도 내가 뜯어서 셀프로 SSD 교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이전까지는 데스크탑 PC는 분해, 조립이 가..
비접촉 온도계를 만들 예정에 없다가 갑자기 만들게 된 건 직접 납땜한 센서 하나가 전혀 작동을 하지 않아서였다. 온도조절기능이 없는 인두기로 납땜을 했는데 혹시 인두기 온도가 맞지 않아서 잘못된 납땜을 해서 작동을 안하는건가 하는 의구심이 들어 인두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를 만들어보기로 했다. 1. 준비물 ▲ 부피를 작게 하려고 아두이노 나노 호환보드를 사용하고 0.91인치 OLED (128x32 I2C SSD1306) 모듈과 MLX90614 비접촉 적외선 온도센서 모듈을 사용했다. 2. MLX90614 비접촉 적외선 온도센서 모듈 연결하기 ▲ 이 온도센서는 I2C 통신을 하고 사물온도를 -70도에서 380도까지 측정할수 있다고 나와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입했고 가격은 $5.04..
앞에서 DHT22온습도센서로 온도 습도값을 측정하여 0.96인치 OLED에 출력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만들다보니 온도 습도 뿐 아니라 시계 기능도 함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OLED 상단에 시간과 날짜를 표시해 주기로 했다. 정확한 시간 표시를 위해 DS3231 RTC를 사용하기로 했다. 예전에 7세그먼트 시계를 만들때 DS3231 RTC를 사용하여 만들었기에 이 블로그에서 한번 설명한 적이 있으나 다시한번 더 상기하면서 DS3231 RTC 연결하는 것부터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DS3231 RTC 연결하기 1> DS3231 RTC 모듈 DS3231 모듈은 저렴하면서도 꽤 정확한(1년에 2분 정도의 오차가 발생한다고 한다.) Real Time Clock (RTC)로 현재 날짜, 시간 등을 ..
DHT22온습도센서와 0.96인치 OLED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아두이노로 온습도계 만들기를 진행중이다. 이전 글에서 DHT22로 온습도를 측정하고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LED에 온습도를 출력해보았다. 0.96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와 U8glib 라이브러리인데 디스플레이에 영문자와 숫자만 표현한다면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도 괜찮지만 나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U8glib 라이브러리도 사용해보았다. 이전 글에 이어서 설명함~ (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 대신 U8glib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전 글의 '3. 0.96 OLED 디스플레이에 온..
집안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만들기의 첫번째 단계로 먼저 온도, 습도를 측정하여 표시해주는 장치부터 만들어보기로 했다. 1. 준비물 ▲ 보드는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하고 DHT22(=AM2302) 온습도 센서모듈과 0.96인치 OLED (128x64 I2C SSD1306)모듈을 사용하고, 브레드보드와 점퍼선으로 연결하였다. 2. DHT22 온습도 센서모듈 연결, 측정하기 실험용으로 끝나지 않고 직접 집에서 사용할 거라 비교적 정확한 값을 위해 DHT22 센서 모듈을 구입했다. DHT22는 DHT11에 비해 비교적 정확하면서도 많이 비싸지 않은 센서라 DIY에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http://www.hardcopyworld.com/ngine/aduino/index.php/archives/1513..
집안 곳곳마다 시계가 있어서 언제든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하는건 필요한 장소에 비해 시계가 부족하기 때문이리라. 부엌에도 시계가 없어 들여놓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다가 아두이노로 여러가지 필요한 기능을 겸하는 시계를 만들어보자는 생각에 이르렀다. 우선, 시계부터 만들고 기능들을 추가하기로 결정, 시계만들기 시작함. 1. 준비물 4-digit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모듈, DS3231 RTC 모듈, 아두이노 우노 호환보드, 그리고 브레드보드와 점퍼선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1> 4-digit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모듈 시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4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7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 구입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했고, 가격은 $1.18 헤더핀이 납땜되지 않고 같이 동봉되어..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에 아두이노IDE (스케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한다. 1. www.arduino.cc ('아두이노' 검색해도 됨) 페이지를 열고, 상단메뉴에서 SOFTWARE → DOWNLOADS 를 클릭한다. 2. Arduino IDE 다운로드 메뉴가 나타나면Windows를 사용하는 경우는 맨위의 메뉴를 클릭하고,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하는 것을 클릭하면 된다. 2018년 10월 2일 현재 1.8.7 버전이 제공되고 있다. 3. 다음 페이지에 들어가면 마치 유료인듯 금액이 나타나지만기부를 하겠냐는 메시지이므로 그냥 'JUST DOWNLOAD'를 클릭하면 된다. 4. 메시지창에서 실행을 클릭하면, 설치가 이루어진다. 5. 창이 뜨면 동의하고, 설치하고, 하다보면 완료된다. 6..
8년 전에 구입한 데스크탑 컴퓨터가 완전히 멈췄다. 일부 부속품을 구해서 굳이 수리해서 사용하기엔 너무 오래된 컴퓨터라 새로 구입하기로 했지만, 한동안 많이 비쌌던 그래픽카드와 우리집 주머니 사정 땜에 차일피일 미루다 이제서야 겨우 컴퓨터를 마련하게 되었다. 조립비도 아껴야겠다는 생각에 부품들을 구입해서 조립은 직접하는 걸로 마음먹었는데 아무리 쉽다고는 하지만, 컴퓨터 조립을 한번도 해본적 없는 초보자라 다소 걱정되는 마음을 안고 시작했다. 1. 컴퓨터 부품 구입 - 가성비 괜찮다고 평이 나 있는 부품들 위주로, 많이 비싸지 않은 것으로 선택하고 - 영상편집할때 큰 무리없을 것이라 생각되어지는 정도의 부품들로 선택함. - 인터넷 사이트 몇 개 비교해보고 저렴하고 신뢰가 가는 사이트에서 구입 - 내가 구입..
이사 후 집정리와 더불어 가장 먼저 한 일 중의 하나가 며칠 째 거슬렸던 식탁등을 바꾼 일입니다. 특이한 디자인에 청소도 힘들고 전구 갈기도 힘들고 표면이 부식 되어서 얼른 바꿔야겠다 생각했지요. ▲ 바꾸기 전 ▲ 바꾼 후 먼저 인터넷에서 저렴하고 예쁜 등을 찾아 주문했습니다. 그리고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네이버 지식백과의 조명교체 부분을 정독했습니다. 등을 바꾸는 건 처음이라 미리 공부를 하고 시작한게 빠른 교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1. 누전차단기에서 전등 부분을 OFF 시킵니다. 저희집 차단기는 현관문 가까운 작은 방에 있더군요. 차단기는 신발장이나 작은 방에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2. 기존 등을 떼어냅니다. 전선연결단자와 브라켓도 모두 떼어냅니다. 이제 새로 산 등을 설치합니다. 3. 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