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온습도 센서
- 아두이노 OLED
- 아두이노 비접촉 온도계
- Adafruit SSD1306 u8glib
- 0.96 OLED
- 노트북 써멀그리스
- 비접촉 온도계 만들기
- 아두이노 시계
- P330-KE1WK
- OLED 시계
- 아두이노 온습도계
- DHT22
- 선반 만들기
- 노트북 쿨러(팬) 청소
- 아두이노 나노 호환보드
- 아두이노
- AM2302
- 128x64 OLED
- LGP33 LG노트북
- DS3231 RTC
- MLX90614
-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
- 0.96 OLED I2C
- MLX90614 온도센서
- LGP33
- 온습도계 만들기
- Windows 10 설치 USB
- 0.91 OLED
- 노트북 SSD교체
- HDD를 SSD로
- Today
- Total
K씨의 별별제작소
Windows 10 설치 USB 만들기 & Windows 설치 본문
이전 글 <오래된 LG노트북 (LGP33) 청소 & SSD 장착>에서 노트북의 HDD를 떼어내고 SSD를 장착했다.
이 페이지에는 이전 글에 이어서 Windows 10을 새로 설치하는 작업과정을 담았다.
노트북 분해 전에 확인할 것!
내가 쓰던 노트북은 구입할 때 운영체제가 Windows 7이 깔려있었는데,
Windows 10 무료 업그레이드 기간에 업그레이드를 해서 Windows 10으로 사용중이었다.
노트북 HDD를 떼어내고 SSD로 교체하면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해야하는데,
이럴경우 Windows 10 정품인증을 다시 받을 수 있는지 찾아보았다.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하드웨어 변경 후에도 디지털 라이센스 또는 제품 키가 있으면 다시 정품인증이 된다고 한다.
노트북을 분해하기 전에
노트북의 시스템 종류, Windows 버전, Windows 정품 인증 여부를 확인해두면 좋고 (아래 2가지 방법 참고)
Windows 10 설치 USB를 만들기 위해 8G이상의 빈 USB도 준비한다.
시스템 종류, Windows 버전, Windows 정품 인증 여부 확인 방법 1
'탐색기' 열기 -> '내PC'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속성' 클릭
시스템 종류, Windows 버전, Windows 정품 인증 여부 확인 방법 2
'시작' -> '설정' 클릭 -> '시스템' 클릭 -> '정보' 클릭
'시작' -> '설정' 클릭 -> '업데이트 및 보안' 클릭 -> '정품 인증' 클릭
두번째 방법으로 확인하면,
내 노트북의 경우 Windows가 Microsoft 계정에 연결된 디지털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정품 인증되었다고 나온다.
(이메일을 입력하여 Microsoft 계정을 만들고 그걸로 Windows 정품 인증을 받았던 것 같다.)
시스템은 64비트 운영체제.
일부 오래된 컴퓨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컴퓨터는 64비트 운영체제이다.
Windows 사양은 Windows 10 Home.
Windows를 새로 설치할 때 똑같은 사양으로 입력해야 정품인증을 받을 수 있다.
Windows 10 설치 USB 만들기
Windows 10 설치 USB를 만드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면 어디서든 가능하다.
주의! 이동식 드라이브가 1개 이상 연결된 경우에
혹여나 지우지말아야 할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Windows 10 설치 USB가 만들어졌다.
여기까지의 과정은 노트북에 새 SSD를 장착하기 전에 진행했다.
이제 이 USB를 사용하여 SSD를 새로 장착한 노트북에 설치해보겠다.
노트북에 Windows 10 설치하기
앞에서 만든 USB를 노트북에 연결하고
USB로 부팅할 수 있도록 바이오스 화면으로 진입해서 부팅순서를 바꾸어준다.
바이오스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노트북을 켠 후 F2 (노트북마다 다른거 같은데 검색해보니 LG노트북은 주로 F2로 하라고 해서)를
연타로 눌러주었는데
바이오스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별다른 설정없이 바로 USB로 부팅이 된건지
곧바로 Windows 설치화면이 떴다.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어쨌든 설치는 잘 되었다.)
이제 노트북에 Windows 10 설치가 끝났다.
노트북에서 장치인식오류 해결
Window 설치가 끝나고 나는 컴퓨터의 장치들이 제대로 인식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예전같지 않아서 요즘 운영체제는 대부분의 장치들을 자동으로 인식해주지만
간혹 인식을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탐색기'를 열고 -> '내 PC'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속성' 클릭하고
'장치관리자' 클릭
장치관리자 창에서 느낌표 있는 장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내 노트북의 경우 'Realtek PCIE CardReader' 앞에 느낌표가 있다.
이 장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다는 표시이다.
검색을 통해 이런저런 방법을 다해도 안되어서 포기하려던 찰나, 드디어 찾았다!
위 사이트로 들어가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했더니 느낌표가 사라졌다.
드디어 끝났다.
8년간 청소한번 안하고 꾸역꾸역 써온 낡은 노트북이었는데,
청소하고 SSD 장착하고 Windows 설치해주고 나니
완전 새 노트북이 되었다.
무지하게 빨라지고 발열도 눈에 띄게 확 줄고.
도전해보길 백번 잘한거 같다.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된 LG노트북 (LGP33) 청소 & SSD 장착 (2) | 2020.01.08 |
---|---|
초보를 위한 컴퓨터 조립기 (0) | 2018.07.20 |